국가지도집 1권

과학 기지와 관측망

next

   대한민국 주변 해양에 대한 연구는 자료 수집과 연구 지원이라는 목적과 함께 대한민국 영토와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대한민국은 조위 관측소, 해양 관측소, 해양 관측 부이, 해수 유동 관측소, 종합 해양 과학 기지로 구성된 국가 해양 관측망을 설치하여, 조석, 수온, 파랑, 해류, 해상 기상 등 다양한 관측 자료를 수집ㆍ분석ㆍ공개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는 연안 환경 보호와 해 양 안전 관련 업무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의 설치와 운영은 실시간 해양 및 기상 정보 제공, 태풍 예보, 북서 태평양 지역의 기후 변화와 해양 환경 특성 파악과 같은 과학적인 연구 목적을 수행하는 것과 동시에, 이어도 해역에 대한 대한민국의 관심을 상징한다.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는 대한민국의 첫 번째 종합 해양과학기지로 2003년 6월 11일 준공되었다.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의 연면적은 1,320㎢, 해수면으로부터의 높이는 36m이며, 수중 암반으로부터의 전체 높이는 76m이다.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는 제주 마라도 남서쪽 149㎞, 일본 도리시마(鳥島) 서쪽 276㎞, 중국 서산다오 (余山島) 북동쪽으로 287㎞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경위도 좌표상의 위치는 동경 125도 10분, 북위 32도 07분이다.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는 해양, 기상, 환경 등 종합 해양 관측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특히 한반도에 상륙하는 태풍의 60% 이상이 통과하는 태풍의 길목에 위치하고 있어 태풍과 관련된 관측과 연구, 예보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선박의 안전 항해를 위한 등대 역할과 해난 사고 수색 전진 기지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가거초 해양과학기지는 2009년 10월 13일 준공되었으며, 연면적 286㎡, 해수면으로부터의 높이는 31m, 수중 암반으로부터 전체 높이는 46m이다. 가거초 해양과학 기지는 가거도 서쪽 47㎞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경위도 좌표상의 위치는 동경 124도 35분, 북위 33도 56분이다. 가거초 해양과학기지는 종합 해양 관측을 통해 대기와 해양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해양과 기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여 어업, 해상 교통, 해양 레저 등 관련 해양 산업을 지원하고, 해양 및 기상 예보 정확도 향상을 통하여 재해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