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휴전선과 DMZ
|
지역
분단 국가인 우리나라는 휴전선인 군사 분계선(MDL; Military Demarcation Line)을 경계로 남한과 북한으로 나뉘어 있으며, 군사 분계선으로부터 남쪽과 북쪽으로 각각 2km, 총 4km 구역을 비무장 지대(DMZ, Demilitarized Zone)로 설정하였다. DMZ는 1953년 7월 27일 체결된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ʼ에 따라 무장이 금지된 완충 지대로 군대 주둔과 무기 배치, 군사시설 설치가 금지되는 지역이다. 민간인 통제 구역은 비무장 지대와 민간인 통제선 사이의 구역으로, 고도의 군사적 활동이 이루어지는 군사 분계선 인접 지역으로의 민간인 출입을 통제하기 위하여 법적으로 지정하였다.
비무장 지대(DMZ) 일원은 일반인의 활동이 엄격히 금지된 지역으로, 다양한 자연 생태계가 보존되어 있어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주로 포유류와 조류의 생물다양성이 높고, 반달가슴곰, 사향노루, 산양, 수달 등 천연기념물과 멸종 위기종의 서식 밀도가 높은 곳이기도 하다. 또한 DMZ는 한반도를 가로지르는 생태 벨트로 산림생태계와 해양 생태계를 비롯한 하천, 습지, 계곡 등 다양한 생태계가 나타난다.
National Geography Information Institute (NGII)
Copyrigh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National Geography Information Institute (NGII) Copyrigh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