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라시아 대륙과 태평양이 만나는 동아시아의 동안 에 자리한 우리나라는 유구한 역사 속에서 찬란한 문화 유산을 꽃피워 왔다.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들은 고대 이래로 한민족의 생활 터전이었으며, 한민족이 세운 많 은 나라가 굳게 지켜온 활동 무대가 되어 왔다 대륙과 해양으로 열려 있는 우 리 삶의 터전으로 다양한 문화가 유입되고 융화되었으며, 이를 통해 한민족의 고유한 문화가 만들어졌다. 근대 이후 우리나라는 급변하는 국제 정치적 환경 속에서 민족적 고난을 겪 기도 했고, 동족상잔과 분단이라는 아픔을 견뎌내야 했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이러한 역경과 고난을 극복하고, 경제 성장과 민주화를 성공적으로 이루어냈 다. 일제 강점기와 6·25 전쟁을 거친 후 1인당 국민 소득이 67달러로 세계의 최빈국 중 하나였던 대한민국은 전 세계 경제 규모 12위, 무역 규모 6위의 경 제 강국으로 성장하였다. 정치적으로는 법치 제도, 민주적 선거 제도와 정당 정치를 정착시켰으며, 지방자치제도의 실시로 지방 분권 시대를 열어나가고 있다. 국민의 삶의 질 분야에서도 대한민국의 발전은 눈부시다. 1960년 52.4 세였던 기대 수명은 2018년 82.7세로 높아졌으며, 전 국민 의료 보험 제도와 다양한 사회 복지 제도를 통해 복지 사회의 이상을 실현해 가고 있다. 이와 같 은 성장의 배경에는 적극적인 산업 정책과 더불어 교육에 대한 투자가 자리하 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문맹률이 0%에 가깝고, 고등 교육 기관에 진학하는 비율은 약 70%이다. 이러한 정치·경제·사회적 성취는 대한민국 국력의 성장으로 이어졌으며, 성 장한 국력을 바탕으로 우리나라는 국제 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 세계 평화 와 국제 협력에 기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유엔 비상임이사국으로서 뿐만 아 니라 다양한 국제기구에서 세계의 기대에 부응하는 책임 있는 역할을 수행하 고 있다. 또한 1970년대 이후 여러 국제기구를 통해 각종 국제 협력 사업을 수 행하고 있으며, 다양한 민간단체가 세계 각국에서 지역 개발, 교육, 의료 및 난민 구호에 앞장서고 있다.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은 동아시아를 대표하는 세계 도시로, 고대 이후 여러 왕조의 중심이 되어 온 역사 도시이다.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태극기는 평화를 사랑하는 우리의 민족성과 함께 우주 만물의 조화와 변화를 아우르는 동양 사 상을 표현하고 있으며, 무궁화는 대한민국의 국화로 민족의 영원함을 상징하 고 있다. 대한민국의 공용어는 한국어이며, 고유하고 독창적인 문자인 한글을 사용하고 있다.
|
|
|